▶ 이달의 경향 – 2분기 주요 동향
▶ 관련 기관 및 단체 소식 – Biobased World Asia Conference
▶ 공지 사항
III. 바이오화학 뉴스
▶ 바이오화학기반 제품 (23)
◆ 합성고무를 개발하는 Bridgestone과 Ajinomoto
◆ 비료가 되는 플라스틱으로, 플라스틱이 될 식물을 키운다
◆ Cortec Corp., 친환경 부식 방지제 출시
◆ 100% 식물유래 포장재 개발 가속화를 위한 협력
◆ PHA 바이오플라스틱 복합소재를 생산하는 체코 공장
◆ Cellana, 조류 기반의 ReNew 제품군 출시
◆ DaniMer, 새로운 바이오유래 라벨 접착제 출시
◆ 재활용 감자껍질, 식물성 오일로 만든 어린이집
◆ '썩는 플라스틱'이 지구오염 해결사
◆ 화학업체 "썩는 플라스틱 판매처 찾아라“
◆ Solvay, 바이오유래 에피클로로하이드린으로 중국시장 공략
◆ 식물 유래의 윤활유
◆ 친환경 제품 : 단단한 PLA, 바이오플라스틱 어린이 집, 패션 액세서리
◆ 감귤류 껍질의 새로운 용도를 찾는 지속가능한 방법 개발
◆ TetraKO, B등급 바이오기반 화재억제제 개발 예정
◆ 바이오플라스틱을 이용한 건축: 건축 소재 내 이산화탄소의 저장 (1부)
◆ 식물기반 자동차 부품, 10년 이내에 금속만큼 저렴해진다
◆ CP Kelco, 자연기반 바이오 고분자를 이용한 소재 개발
◆ Oli-PHA 프로젝트, 올리브 공장 폐기물로 친환경 포장재 개발
◆ 바이오유래 PET를 위해 협력하는 Toray와 Gevo
◆ DNA2.0社, 바이오플라스틱 고분자 합성 특허 획득
◆ 상업화로 향하는 바이오플라스틱(1부)
◆ 상업화로 향하는 바이오플라스틱 (2부)
▶ 바이오연료·바이오에너지 (22)
◆ UGA 과학자들, swichgrass와 유사한 조 유전자 서열 규명
◆ 청정 미래를 위한 새로운 대안, 조류
◆ 가격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새로운 바이오연료 생산 공정
◆ 바이오리파이너리용 DSM 효소를 공급 승인한 DONG Energy
◆ 항공사 단체, 바이오연료 정부 지원 필요 주장
◆ "21세기 바이오 산업, 미세 조류가 대안이다“
◆ 8가지 대표적인 바이오연료에 대한 그릇된 통념 (1부)
◆ 8가지 대표적인 바이오연료에 대한 그릇된 통념 (2부)
◆ 보다 현실적인 바이오연료 계획을 마련하고 있는 DOE
◆ 친환경적이지 못한 바이오연료
◆ 바이오연료 비행 테스트를 준비 중인 Boeing과 PetroChina
◆ 칠곡군, 미세조류 바이오디젤유사업 본격화
◆ 재생가능한 연료 도입을 바라는 항공업체
◆ 오하이오주립대, 파네신 바이오연료 개발 착수
◆ 서울시 공공건축물 신재생에너지 비율 2배 더 늘려
◆ 차세대 바이오연료 공급원료가 될 잠재력 있는 새로운 작물 재배
◆ 해양에 적합한 바이오연료의 모형화
◆ 바이오에너지 작물로써 수수의 잠재성
◆ 작물 잔여물 유래의 바이오연료에 관한 주의
◆ 아마존 바이오연료 공장을 준비하는 Vale
◆ 바이오 에너지용 中 폐식용유 사기주의보
◆ 바이오연료 생산 증대의 길을 열어줄 생물학적 스위치
▶ 정책·제도 (13)
◆ 제지, 목재, 펄프 제품을 바이오유래 대상 물질로 하는 법안
◆ 서울시, 공공건축물 신재생에너지비율 2배로 확대
◆ 비닐봉지 요금제 폐지 및 비닐봉지 금지
◆ USDA, 바이오기반 우선구매 카테고리 12개 추가 제안
◆ 팜(palm) 원유에 수출 추가 세금을 부과하는 태국
◆ 플라스틱 봉투를 금지한 시 의회
◆ BioPreferred program에 목재 제품 도입 논의
◆ 마카티 시티(Makati City), 플라스틱 봉투 사용금지
◆ BIO, 2012 농업법의 에너지 투자법안지지
◆ 미 환경보호국, 바이오연료 E15 허용한 통과
◆ 가이아나 정부, 스티로폼 용기에 제동
◆ 말레이시아의 바이오경제
◆ 미 농무부 장관, 바이오기반 화학 생산 설비 지원 발표
▶ 기타 (14)
◆ 농업 및 산업 잠재력에 대한 리더십 서밋 개최
◆ Incitor, Cottonwood Technology Fund를 통해 투자 그룹 유치
◆ 바이오유래 화학제품을 위해 협력하는 BASF와 BioTork
◆ 친환경 천연연료 사용 펄프·종이 제조의 메카 무림P&P 울산공장
◆ 바이오부탄올 생산을 확대하는 Butamax
◆ 옥수수 가뭄 타격…에탄올 가격 반등
◆ 녹색기술 한계와 문제점 반성이 필요하다
◆ NatureWorks, UN Rio+20 지구정상회의 Plasticity Rio ‘12 참석
◆ 이탈리아와 태국 바이오플라스틱 협회 간 MOU 체결
◆ Gevo, 셀룰로스 이소부탄올 공장 부지로 말레이시아 선정
◆ Renova,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투자
◆ Burton 사업에서 소개된 바이오유래 사업(활동)
◆ 브라질에 재생가능 오일 생산공장 건립을 시작한 Solazyme과 Bunge
◆ Aloterra energy, 뉴욕으로 확장
Contact Us
Science Building Room No. 204-205, Kookmin University 861-1 Jeongrung-dong, Sungbuk-gu, Seoul 136-702 Tel: +82-2-910-5596(5462), Fax: +82-2-910-5739 E-mail: ycpark@kookmin.ac.kr